본문 바로가기
영어발달사

인구어족의 주요 구분 2

by 멋쁨이고싶은초록이클로버 2023. 10. 19.
반응형

아르메니아어와 알바니아어

이미 고찰한 바와 같이 아르메니아어와 알바니아어는 독립된 하위어군입니다. 아르메니아어는 그 어휘에 많은 페르시아 차용어를 가지고 있어, 한 때 이 언어가 인도-이란어군에 속한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또한 희랍어, 아라비아어 및 시리아어로부터 많은 어휘가 차용되었습니다.

알바니아어도 이탈리아어, 슬라브어, 터키어 및 희랍어로부터 차용된 단어를 가진 혼합된 어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언어는 아마도 인구어의 일루리아어계(Illyrian)에 속하는 고대 일루리아어와 관련된 것 같습니다.  그러나 그 고대 언어의 증거가 극히 희박하며, 현대 알바니아어가 근접 언어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그 친근 관계를 상세히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토카리아어

토카리아어 A와 토카리아어 B의 두 개가 있는 토카리아어(Tocharian)는 잘못 이름 지어진 것입니다. 19세기말, 이 언어가 중앙아시아에서 몇 권의 불교성전과 사원의 회계록에서 발견되었을 때, 처음에는 이 언어가 이란어의 형태라고 생각되었습니다. 그 뒤 이 언어는 고대 희랍 지리학자 strabo에게 Tocharoi로 알려진 멸종된 이란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어진 것입니다. 후에 토카리아인은 언어적으로 이란인과 아주 다르다는 것이 발견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이름이 붙어 있으며, 그 언어 자체는 사멸 된지 오래입니다.

아나톨리아어

토카리아어 발견직후 인구어의 또 하나의 어군이 소아시아에서 발견되었습니다. 히타이트인(구약성서와 기원전 2,000년 이후의 이집트 문서에서 언급된 민족)의 수도를 발굴할 때 왕실 고문서가 나왔습니다. 이 고문서는 몇 개의 고대 언어로 쓰인 문서를 포함하고 있었고, 이 중에는 그때까지 알려있지 않았던 언어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그 알려져 있지 않은 언어로 된 문서를 해독한 결과 히타이트어는 비록 그 주변에서 사용된 비인구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는 하였지만 인구어였다는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그 후 학자들이 다르기는 하지만 서로 관련된 몇 개의 언어(Luwian, Palaic, Lydian)를 찾아냈으며, 이 새로운 어군을 그 사용된 지역을 감안하여 아나톨리아어(Anatolian)라고 호칭하였습니다. 히타이트어의 흥미로운 특징의 하나는 기타 모든 인도-유럽어에서 소실된 인구어의 후두음;(h로 음역됨)을 보존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예 ; 희랍어 pūr, 움브리아어 pir, 체코어 pŷř, 토카리아어 por, rh 영어의 fŷr와 비교되는 히타이트어 pahhur '불).

발트-슬라브어

발트어와 슬라브어의 최고의 기록은 이 두 언어가 서로 매우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긴 하지만, 대부분의 학자는 인구어보다 더 가까운 발트-슬라브어(Balto-Slavic)란 공통조어를 가정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발트어는 리투아니아어(Lithuanian)입니다. 이것과 밀접하게 관련된 라트비아어(Latvian)는 리투아니아 북쪽의 라트비아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리투아니아와 더불어 구 소련의 일부입니다. 리투아니아어는 음운적으로 매우 보수적인 면이 있기 때문에, 보다 오래된 인구어 내의 동족어와 형태가 매우 유사한 많은 단어들을 이 언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예: 리투아니아어 Diēvas와 산스크리트어 devás "신" 또는 리투아니아어 platùs와 희랍어 platús "넓은“.

또 하나의 발트어인 고프러시아어 (Old Prussian)는 지금 동프러시아라고 불리는 곳에서 17세기까지 사용되었습니다. 동프러시아는 19세기 초에 독일에 흡수되었고 점차 프러시아는 새로운 독일제국의 강력한 한 주가 되었습니다. 리투아니아인이나 라트비아인과 마찬가지로 프러시아인들은 중세기말까지 이교도인이었으나, 이들은 중세기에 십자군의 결과로 나타난 무사사회인 튜우튼 기사단의 무력에 의해 개종되었습니다. 이 지역의 귀족(이 후예가 프러시아 융커당원(Junkers)임)은 이 기사단의 사람들로 구성되게 되었고 이들이 이교도인 발트인들의 영혼을 구원한 다음 그들의 땅을 점령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슬라브어는 다음 세 개의 주요 하위 언어군으로 분류됩니다. 동슬라브어는 러시아의 공통적인 문학어인 대러시아어(단순히 러시아어), 때로 소러시아어로 불리는 우크라이나어, 그리고 우크라이나 바로 북쪽 지역에서 사용되는 백러시아어(또는 Byelorussian)를 포함합니다. 서슬라브어는 폴란드어, 체코어, 이와 비교적 유사한 슬로바키아어, 그리고 동독일의 소수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소르비아어(Sorbian)(혹은 웬드어)를 포함합니다. 이들 언어는 동슬라브어에 보존되어 있는 많은 초기 형태를 상실하고 있습니다. 남슬라브어는 불가리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Serbo-Croatian), 슬로베니아어(Slovenian)를 포함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가장 오래된 슬라브어 문헌은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되어 있고, 이 언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게 된 후에도 오랫동안 기도문에 사용되는 언어로 남아있습니다.

'영어발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르만어(German)  (2) 2023.10.21
켈트어  (2) 2023.10.20
현대 희랍어와 헬리닉 방언  (2) 2023.10.18
인구어족의 주요 구분  (2) 2023.10.17
비인구 언어 2  (0) 2023.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