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발달사

게르만어(German)

by 멋쁨이고싶은초록이클로버 2023. 10. 21.
반응형

게르만어

영어가 게르만어군(Germanic Group)에 속해 있기 때문에, 이 어군은 다른 어떤 어군보다 다소 더 상세하게 취급할 가치가 있습니다. 수세기가 경과하는 과정에서 덴마크와 그 인근 지역에 살고 있던 인구인들이 사용하고 있던 어느 정도 단일화된 언어에 급진적인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이 변화가 일어난 기간을 전게르만기어(Pre-Germanic)라고 합니다. 게르만기어(Proto-Germanic)(혹은 단순히 게르만어(Germanic))는 이러한 변화로 빚어진 비교적 단일화된 언어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입니다-이 언어는 그 음, 굴절, 악센트 조직, 그리고 어휘면에서 일정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들에게 불행하게도 인구어에서 발전된 이 게르만기어를 사용한 사람들은 글을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라틴어가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와 관계된 것처럼, 게르만기어는 독일어, 네덜란드어, 스칸디나비아어 및 영어와 관련됩니다. 그러나 게르만기어는 아마 서력기원 지적에 사용된 것이므로 인구어와 마찬가지로 재구성되어야 합니다. 한편 라틴어는 풍부한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게르만어가 확대됨으로서 나타나는 지역별 방언

게르만 민족이 점차 광대한 지역으로 확대해 감에 따라 필연적으로 더욱 현저한 방언 차이가 나타나게 되어, 결국 북게르만어(North Germanic)는 덴마크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아이슬란드어 그리고 페어로우어(Faeroese)를 포함합니다. 페어로우어는 아이슬란드어와 매우 유사하며, 아이슬란드와 대영제국 사이의 북태평양에 위치한 페어로우(Faeroe) 섬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서게르만어(West GErmanic)에는 고독일어, 저 독일어(Plattdeutsch), 네덜란드어(그리고 실제로 같은 플랑드르어), 프리이즐란드어 그리고 영어가 포함됩니다. 이디시어(Yiddish, Judeo-German)는 몇 개의 중세 고독일어 방언에서 발달된 것으로서 헤브라이어와 슬라브어의 어휘를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이디시어는 질 높은 문학을 가진 유대인들의 일종의 국제 언어였습니다. 대부분의 유태인들은 그들이 거주하는 나라의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그 후 이디시어는 크게 쇠퇴되어 사용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디시어의 쇠퇴는 또한 이스라엘의 헤브라이어의 부활을 가속화시켰습니다. 아프리칸스어(Afrikanns)는 전 아프리카에서 사용된 17세기의 네덜란드에서 발달된 것입니다.

동게르만어의 일종인 고오트어

우리가 자세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동게르만어(East Germanic)는 고오트어(Gothic)입니다. 고전 작가들에 의해 기록된 약간의 고유명사, 핀란드어 내의 소수의 차용어, 스칸디나비아에서 발견된 약간의 루운문자 비문을 제외하고는 모든 게르만어 가운데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오트어의 것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고오트어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은 4세기 울필라(Wulfila)(희랍인에게는 Ulfilas)가 번역한 일부 신약성서에서 알려진 것입니다. 울필라는 다뉴브강 북쪽에 살았던 서고오트어(Visigoths)의 사교였습니다. 이 밖에 또한 다른 두 편의 성서와 요한 복음서 주석에 대한 단편들이 있습니다. 이들 문헌은 산스크리트어, 이란어, 희랍어, 라틴어의 문헌과 비교해서 뒤진 것이지만 이 고오트어의 단편적 기록이 초기 발전 단계의 게르만어 특징을 잘 말해줍니다. 영어 어원사전들은 상기 문헌들에 관련된 고오트어 형태가 나타날 때 영어의 고오트어 사족어(예: light-leights, find-finpan)를 인용하고 있습니다. 구어로서의 고오트어는 오래전에 사라져서 그 흔적을 남기지 않고 있습니다. 현대 게르만어 가운데서 고오트어에서 파생된 것은 없으며 또한 어떤 게르만어에도 고오트 차용어는 없습니다. 반달어(Vandalic)와 브르군드어(Burgundian)는 그 구조면에서 분명 동게르만어였지만, 약간의 고유명사 이외에는 이들 언어에 대해 아는 바가 거의 없습니다.

인구어의 동족어

우리가 음추이의 결과를 일단 알게 되면, 인구어의 각종 언어 내에서 구조가 유사하고 의미가 비슷하거나 동일한 단어들은 동족어(cognate)-즉 공통 기원의 단어(라틴어 co-와 gnätus '같이 태어나다 ‘)-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산스크리트어(bhar-), 희랍어(pher-), 라틴어(fer-), 고오트어(bair-) 그리고 고영어(ber-)의 ’나르다, 운반하다 ‘라는 뜻을 가진 어근은 그 기원이 같은 것으로서 모두 인구어 bher-에서 발달된 것입니다. 동족어는 그 형태가 매우 유사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들 언어들도 동족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어 work와 희랍어 ergon은 표면상 유사하진 않지만 이 단어들은 둘 다 인구어 wergom에서 발랄된 것이며 따라서 동족어입니다.

'영어발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리튼의 영국민  (2) 2023.10.23
앵글로-색슨족의 유래  (2) 2023.10.22
켈트어  (2) 2023.10.20
인구어족의 주요 구분 2  (2) 2023.10.19
현대 희랍어와 헬리닉 방언  (2) 2023.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