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바이킹의 침략의 역사
10세기 후반 이후 노르웨이 왕이 된 Olaf Tryggvason이 이끄는 일 개 함대의 전사들이 도착함과 더불어, 또 다신 동란이 시작되었습니다. 그 몇 년 후에는 덴마크 왕인 Svein Forkbeard가 Olaf에 합세하게 됩니다. 공격이 20년 이상 반복되었고, 훌륭한 고영시 The Battle of Maldon에 찬양되고 있는 용감한 Byrhonoth휘하의 Essex인들에 의한 (성공은 거두지 못했지만) 그 영광스러웠던 991년의 저항을 필두로, 대부분의 전투에서 영국은 치명적인 패배를 맛보았습니다. 그러나 대체로 후기 북유럽 사람들의 습격은 강력한 저항을 받지는 않았습니다. 이 시기는, "경솔한"의 뜻이지만 흔히 "준비 없는"의 뜻으로 오해되고 있는, Unræd로 알려진 Ethelred 제2세의 불행한 시대였습니다. 1016년 Ethelred와 그의 아들 Edmund Ironside - 그의 아버지보다 반년 가량 더 살았음-의 사망 후, 잠시 영국왕으로 되었던 Svein Forkbeard의 아들 Cnut가 즉위하였습니다. Cnut는 Ethelred의 과부인 노르망디의 Emma와 결혼했기 때문에 그녀는 서로 다른 아버지에게서 낳은 두 영국왕, 즉 Ethelred로부터는 Edward the Confessor를, Cnut로부터는 Harthacnut를 낳은 어머니(그녀는 Ethelred의 아들 Edmund Ironside의 모친은 아님)가 되었으므로, Cnut는 어느 의미에서 Alfreddhkdxhd과 관련되어 있지만, Alfred의 왕통은 Edward the Confessor가 즉위한 1042년에 가서와 회복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언어학적으로 알아보는 여러 스칸디나비아 언어들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영국인들이 데인족(Dene)으로 불린 사람들은 모두가 덴마크에서 온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언어학적으로 볼 때, 이 사실은 의미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러 스칸디나비아 언어들이 그 당시는 서로 다른 것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이들 언어들은 고영어와 유사하였기 때문에, 영국인과 스칸디나비아인들 사이에 의사소통이 가능했습니다. 영국인들은 그 이웃이 된 스칸디나비아인들과 언어상으로 뿐만 아니라 혈연적으로 동족임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고영시 Beowulf는 스칸디나비아의 전설과 역사를 전적으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이 위대한 문학작품이 작성된 후 약 1세기 반이 지난 후, Alfred왕은 데인족들을 좋아할 아무런 이유도 없었지만, Orosius의 역사에 대한 그의 번역에서, 그 유명한 Ohthere와 Wulfstan 여행 이야기 가운데 북구 여러 나라에 대한 첫 지리 해설을 삽입시켰습니다.
스칸디나비아인들의 영국인화
적대감과 유혈에도 불구하고 결국 북구인들도 자기들과 같은 "동족"에 속한다는 감정이 영국인들 사이에 있었습니다 - 이것은 영국인 선조들이 브리튼섬 켈트족에 대해서는 느끼지 못했던 감정입니다. 초기 침략은 주로 약탈과 강탈의 목적으로 이루어진 반면 - 결과적으로 많은 스칸디나비아인들이 정착하게 되었지만 - 10세기와 11세기 초의 북구로부터의 침략자들은 그 선조들보다는 식민지 개척에 더욱 관심을 가졌던 것 같습니다. 이 개척은 East Anglia(Norfolk와 Suffolk), Lincolnshire, Yorkshire, Westmorland, Cumberland 그리고 Northumberland에서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데인족은 오랜 기간 영국인들과 공존하여 생활하면서 평화롭게 정착하였습니다. 스칸디나비아인들은 탁월한 식민지 개척자로서 기꺼이 그들의 새로운 고향에 동화되었습니다. John Richard Green이 설득력 있게 요약한 바와 같이 "영국은 여전히 영국으로 남았으며, 정복자들은 그들 주변의 대중 속으로 조용히 스며들었다, 그리고 Woden은 반항 없이 그리스도에 굴복하였다(인용. Jespersen 1954, p. 58)."
동화가 영어에 끼치는 영향
우리의 주요 관심사는 그러면 이 동화가 영어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점입니다. 고영어와 고느르드어(Old Norse)(스칸디나비아인들의 언어)는 빈도수가 높은 단어들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Jespersen(1954, p. 60)은 그중 다음과 같은 것들을 인용하고 있습니다 : man, wife, mother, folk, house, thing, winter, summer, will, can, come, hear, see, think, ride, over, under, mine, thine. 서로 관련된 단어가 그 형태면에서 현저히 차이가 있는 일부 경우에는 스칸디나비아형이 우세하였습니다 - 예: sister(ON systir; OE sweostor).
고영어 방언
앵글로-색슨 영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네 개의 중요한 방언이 사용되었습니다
여러 방언들
켄트 방언(Kentish) - 켄트에 정착한 쥬우트족의 언어
웨스트색슨 방언(West Saxon) - 켄트를 제외한 템즈강 이남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머어시어 방언(Mercian) - 웨일스를 제외한 템즈강에서부터 험버강 사이에서 사용되는 언어
노오덤브리아 방언(Northumbrian) - 이 방언이 사용된 지역(Humber 강 이북)은 그 명칭에 의해 적절하게 표시
Mercian과 Northbumbrian은 일부 특징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 방언들은 West Saxon 및 Kentish와 구분됩니다. 그래서 이 템즈강 이북의 방언을 사용했던 사람들이 주로 앵글족이었기떄문에, 이들 두 방언은 때로 앵글리아 방언(Anglian)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이 이외의 방언들도 아마 존재하였다고 생각되나, 우리는 문헌상의 기록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Anglian과 Kentish의 기록은 드뭅니다. 그러나 비록 그 일부에 불과하지만 많은 West Saxon의 글은 우리에게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후에 발달하여 오늘날 조스코트 목양자의 언어와 그 영국 남부 목양자의 언어를 크게 구별할 수 있는 방언들과 비교하면, 고영어 방언들 사이의 차이는 커다란 것은 아닙니다.
'영어발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oo년대까지의 현대 영어 (2) | 2023.10.25 |
---|---|
브리튼의 영국민 (2) | 2023.10.23 |
앵글로-색슨족의 유래 (2) | 2023.10.22 |
게르만어(German) (2) | 2023.10.21 |
켈트어 (2) | 202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