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발달사

언어 기호

by 멋쁨이고싶은초록이클로버 2023. 9. 4.
반응형

언어 기호

언어에서 체계가 조직화한 것이 기호입니다. 기호(sign)란 단순히 어떤 다른 것을 대표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apple 같은 단어가 기호인데, 이것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과일을 대표합니다. 그러나 언어기호는 단어만이 아닙니다. 언어기호는 단어보다 작거나 큰 것일 수 있습니다. 최소단위의 언어기호는 형태소(morpheme)인데, 이것은 보다 적은 의미 요소로 분석할 수 없는 의미형태입니다. 단어 apple은 하나의 형태소이며, applejack(사과 브랜디)은 두 개의 형태소로 구성된 단어입니다(두 형태소는 또한 각각 독자적으로 단어로 기능할 수 있습니다). 단어 apple도 두 개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 -s는 단어의 한 요소로만 나타납니다. 단어로서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소(apple, jack)를 자유형형태소(free morphemes)라고 합니다. 단어를 구사하기 위해 다른 형태소와 결합되어야 하는 것들을 구속형형태소(bound morphemes)라고 합니다. 단어 reactivation(다시 가동함)은 다음의 단계적인 분석에서 볼 수 있듯이 그 안에 5개의 형태소(1개의 자유형과 4개의 구속형)를 갖고 있다.

re-activation

activate-ion

active-ate

act-ive

즉, 이 단어의 형태소는 자유형 act와 구속형 re-, -ive, -ate, -ion입니다.

형태소는 하나 이상의 발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로 철자된 명사 복수어미는 이미 언급한 것처럼 세 가지로 다르게 발음됩니다. 즉, backs에서의 s-음, bags에서의 z-음 badges에서의 모음 + z-음입니다. 이러한 변차의 각각을 복수형태소의 이형태소(allomorph)라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형태소 -ate에 형태소 -ion을 결합시킬 때 -ate의 t와 -ion의 i가 결합해서 sh-음이 됩니다(그래서, 이 단어를 activashon으로 적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변차는 비록 철자로는 흔히 나타나지 않지만, 영어의 형태소의 특징입니다.

형태소는 또한 어간형태소(base morphemes)와 접사(affixes)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접사는 어간형태소에 부가되는 구속형형태소입니다. 접사는 어간 앞에 오는 접두사(prefix)(re-)이거나, 어간 뒤에 오는 접미사(suffix)(-s, -ive, -ate, -ion 등이)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어간형태소는 자유형(apple, act 등)이지만 어떤 것은 구속형(insulate의 insul-)입니다. 두 개 이상의 어간을 가지고 있는 단어(applejack)를 복합어(compound)라고 합니다.

언어기호는 단어(자유형형태소) 또는 단어보다 작은 것(구속형형태소)일 뿐만 아니라, 단어보다 큰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 구성요소의 뜻으로부터 전체의 뜻을 예측할 수 없는 단어결합은 관용어(idiom)입니다. 영어에서 널리 사용되게 된 관용어는 turn on (a light) (불을 켜다), call up(on the phone) (전화로 불러내다), put over (a joke) (농담을 하다), ask for (a job) (일자리를 구하다), come down with (an illness) (병으로 쇠약해지다), go back on (a promise) (약속을 취소하다) 등 동사와 부사, 동사와 전치사의 결합이거나 또는 동사, 부사, 전치사의 결합입니다. 의미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표현은 하나의 단위로 생각될 수 있습니다. 즉 go back on은 약속을 ‘포기한다’는 것입니다.

언어조직의 풍부성의 일부는 그 기호의 다양성에 기인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이 간단한 진술에서는 단순히 암시하는 것으로 그치겠습니다.

말로써의 언어

언어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현될 수 있는 조직입니다. 즉 언어는 글로 불리 우는 지상의 표시에 의해서, 신호언어에서와 같은 수신소와 몸짓에 의해서, 군의 신호에서의 착색 신호등, 혹은 깃발에 의해서, 그리고 전신에서의 전자 소리에 의해서 표현되는 조직입니다. 그러나 언어기호-단어와 형태소-는 입으로 표출되고 귀로 듣는 소리인 구두 청각적(oral-aural)인 것이 기본입니다. 만약 인간의 의사전달이 주로 몸짓의 조직으로 발전했다면(미국의 농아기호언어와 같이), 그 언어는 오늘날의 언어와 매우 달랐을 것입니다. 소리는 시간선상에서 서로 연속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언어는 (인쇄에서 사용하는 활자의 행처럼) 일차원적 특성을 갖게 됩니다. 몸짓은 일차적인 시간 이외에 삼차원적인 공간을 채울 수 있습니다. 귀는 모든 방향에서 오는 음을 들을 수 있으나, 눈은 그 앞에서 행해지는 몸짓만을 볼 수 있습니다. 눈으로는 꿰뚫어 볼 수 없는 벽 같은 물리적 장해물을 통해서 귀는 듣습니다. 말은 몸짓과 비교해서 장점과 단점을 둘 다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아서, 말은 그 진화적 생존이 입증하듯이, 보다 우수하다는 데에는 의심이 없습니다.

'영어발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으로서의 언어  (0) 2023.09.06
글과 말  (0) 2023.09.05
문법적 신호  (0) 2023.09.03
언어의 정의  (0) 2023.09.02
언어 능력과 언어  (0) 2023.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