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과 말
우리 문화에서 글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때로 말보다는 글을 더욱 현실적인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조금만 생각해 보면, 언어에 있어서 왜 말이 일차적인 것이고 글은 이차적인 것인가를 알게 될 것입니다. 인간은(현존하여 있는 증거에 의해서 말할 수 있는 한) 약 5000년 동안 글을 써왔습니다. 그러나, 인간은 이보다 훨씬 오랫동안, 분명 인간이 존재한 이래 계속 말을 사용해 왔습니다. 글이 발달되었을 때 이것은 말에서 유래됐고 불완전하게나마 말을 대표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제3장에서 고찰하기로 하겠습니다. 오늘날에도 말은 있으나 글이 없는 언어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우리는 글을 배우기 전에 말을 먼저 배웁니다. 육체적으로 또는 지적으로 크게 장애가 없는 어린이는 예외 없이 말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정상적인 인간은 말을 배우는데 방해를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마치 우리가 말의 형식을 통해 언어를 습득하도록 계획된 것같이 보입니다. 한편 글을 배우는 데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과거에는 사회의 많은 지성적이고 유능한 사람들도 글의 기술을 습득하지 않았던 경우가 있었으며, 오늘날에도 글 체계를 갖춘 언어를 말하는 사람 가운데서도 읽고 쓰는 법을 배우지 못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한편 이러한 기능의 기본을 배운 사람 가운데도 이것을 불완전하게 배우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글보다 말이 일차적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것은 결코 글을 멸시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말이 우리를 인간으로 만든다고 한다면, 글은 우리를 개화되도록 합니다. 글은 말보다 몇 가지 유리한 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글은 보다 영구적 이어서 모든 문화가 간직해야 하는 기록을 가능하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글로 쓰면, 말로 할 수 있는 것보다도 분명하게 어문에 둔 공간을 통해서 휴지의 유형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Grade A는 dray day로 들릴 수 있으나, 글에서는 이 양자가 혼돈되는 일이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쉼표는 "a pretty, hot day"(아름답고 더운 날)와 "a pretty hot day"(매우 더운 날)을 실제 말에서 구별되는 것보다도 더욱 분명하게 구별 짓습니다. 그러나 의문부호는 문미에 상승조를 갖는 “Why did you do it?"(잘 듣지 못했다는 의미)를 구별하지 못합니다. 또한 글에서는 sound quality(음질)와 sound quality(양질)("The sound quality of the recording was excellent"와 "The materials were of sound quality"에서와 같이)의 차이를 분명히 나타내지 못하지만, 말에서는 첫 문장의 sound에 강세를 두고 두 번째 문장에서는 quality의 첫음절에 강세를 주어서 이를 쉽게 구별합니다. 마찬가지로 incense(성나게 하다)와 incense(향)는 말에서 강세 위치로 분명히 구별되며, sewer(하수도)와 sewer(재봉사)는 그 모음의 음질로 구별됩니다. 그러나 글에서는 bear(운반하다), bear(곰) 같은 음과 철자가 동일한 단어에서와 같이, 이들 단어들은 문맥에서만 구별할 수 있습니다. 한편, 음이 같은 어떤 단어들이 글에서는 구별됩니다. bare는 앞에 예시한 단어 bear와 구별되고 weak는 week와 구별됩니다. bare는 앞에 예시한 단어 bear와 구별되고 weak는 week와 구별됩니다. 말할 때 "a bear behind"나 "a week back"같은 구에 잠재되어 있는 약간의 모호성이 글에서는 없어집니다. 동음이의어는 방금 인용한 예에서와 같이 동요 유머의 본질입니다. 셰익스피어는 다음과 같은 말장난을 기피하지 않았습니다. tale과 tail, whole과 hoe, hoar(하얀)과 whore(매춘부) 기타 많은 동음이의어(stale과 steal은 이제는 동음이의어가 아니다)를 포함한 말장난은 우리의 이 위대한 시인의 작품에 빈번히 나타납니다.
글을 쓰는 관습은 일상 말하는 관습과 다소 다르기는 하지만, 실제로 매우 많이 다르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wasn't, don't, wouldn't로 말하지만, 쓸 때는 보통 was not, do not, would not로 합니다. 더욱이 선택상의 차이가 때때로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단어 선택은 통상 매일 하는 말에서보다 글에서 다소 더 신중하게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이것들은 문체상의 문제입니다. 글이 말보다 다소 더 보수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도 역시 문체상의 문제입니다.
한 언어의 음을 다른 언어의 철자로 나타내려는 노력으로 인하여, 하나의 글 체계를 딴 글 체계로 해독하는 문자전사(transliteration)와 한 언어를 딴 언어로 해석하는 번역(translation)이 혼동될 수 있습니다. 영어를 말하는 국민이 Chekov로 알고 있는 위대한 러시아 작가의 이름이, 로마 알파벳이 아닌 시릴 자모(Cyrillic)를 사용하는 러시아어를 음독하는 방법에 따라, 철자가 다른 체계에서 여러 가지로 쓰이고 있습니다. 독일 사람은 Tchechow, 스웨덴 사람은 Tjechov, 그리고 스페인 사람은 Tchejoff, Tchekov 또는 Chejov로 각각 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철자가 그 러시아 음을 각 언어의 음 및 철자 조직에 익숙한 음으로 매우 접근시키고 있다는 사실이 실제로 중요한 것입니다. 작가 자신은 그의 이름을 ЧеХов로 썼는데, 이것은 우리가 보기에는 이상하지만 러시아어가 매우 어려운 언어라는 것을 시사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이것은 국제적 이해라는 면에서, 러시아 사람은 우리들의 화법을 채용해야 하는 한다거나, 우리들이 그들의 것을 채택해야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도 아닙니다. 모든 다른 단어와 마찬가지로, 이름도 글로 표기되기 훨씬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름을 쓰는 방법은 단순한 관습의 문제입니다. 만약 러시아 사람들이 오래전에 그들의 글 조직의 기반으로 중국의 표음문자를 채택했더라도 그들의 언어는 현재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것과 같은 이름을 가졌을 것입니다. 터키 대통령 Mustafa Kemal Pasha(후에는 Kemal Ataturk)가 1928년 터키의 철자로서 아라비아 글 대신 로마 알파벳으로 대치시켰을 때도, 그가 그 나라에 그레고리 달력을 도입했을 때 시간에 변화가 없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터키 언어는 변화하지 않았습니다.